지난 번에 814 SE를 A1으로 만들어보고 플레이트 손실 50W짜리 관으로 이러면 안되지 하는 생각으로 A2 드라이브로 다시 만들어봤습니다. 제가 올해 만드는 회로는 최고의 회로가 아니고 사놓고 안 써본 관이 뭐가 있더라, 이런 개념으로 초단관, 드라이브단관을 고르기 때문에 이번에도 시정수가 딱히 좋은 것 같지는 않습니다. 회로는 이런 식으로 해봤습니다. A1 구성에서는 6FQ7을 드라이브로 썼는데 캐팔로 6XB7를 …
814 SE A2 1차 제작 더보기
[작성자:] 홍건영
위상반전회로 디버깅
앰프를 켤 때 발진에 의한 굉음이 발생하는 것을 NFB 저항에 병렬로 붙이는 바이패스 캡을 떼어내서 없앴습니다만, 결국은 이것이 매우 큰 위상차에 의해서 PFB가 걸리는 것이라는 조언에 대해서 생각을 해보았습니다. 사용한 OPT는 럭스만의 OY-15로 중고라서 상태가 좀 메롱할 수는 있겠으나 아래와 같은 식의 큰 위상차가 있는 것은 아닌 것 같은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게 전적으로 OPT 탓은 …
위상반전회로 디버깅 더보기
811A SE – 어설픈 마무리
며칠을 가지고 놀다가 (낑낑거리다가) 아래와 같은 회로도로 마무리 합니다. 맨 처음 제작과 달라진 것은 놀고 있던 12BHA7A의 반쪽을 병렬로 연결해서 전류량을 늘려주었다는 것과 약 7.5dB의 NFB를 걸어주었다는 것입니다. 위의 회로에서 스피커 출력은 아래와 같이 시뮬레이션되고 실제와 아주 크게 차이나지는 않을 것입니다. 0.7Vpp 입력일 때입니다. 0.7Vpp 입력을 주고 측정하면 이렇게 됩니다. 거의 유사하죠? 주파수 응답은 아래와 …
811A SE – 어설픈 마무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