먼저 4각파 입력입니다. 20Hz. 사각파는 오디오 앰프에게 힘든 파형이라고 들었습니다. 100Hz만 돼도 꽤 좋아집니다 이번에는 440Hz. 1KHz. 10KHz에서 조금 무너지네요. 가청주파수 한계라는 22KHz. 나쁘지 않네요 Sine wave는 그냥 다 좋습니다. 사진 오른쪽에 주파수가 적혀 있습니다 Bode plot 측정치입니다 LPspice 시뮬레이션과 비교를 해볼까요? 시뮬레이션에서는 0.2~0.3dB 정도 더 gain이 되는 걸로 나오는데 실측으로는 8.05dB gain으로 나오지만 매우 …
프리앰프 측정치 더보기
[태그:] Bode plot
재미로 해보는 Class D 앰프 측정
다른 글에 소개한 TI의 TPA3116D2 칩이 사용된 Class D 앰프입니다. 오실로스코프가 있기 때문에 측정을 해봤습니다. 노란색이 입력으로 준 1KHz sine wave, 녹색이 8옴 더미 저항에 연결한 것을 측정한 출력입니다. 아날로그 앰프에서는 아무튼 sine wave가 측정되는데 디지털 앰프에서는 상당히 독특한 파형이 나옵니다. 증폭 방식이 PWM 방식이기 때문이라고 들은 것 같습니다. 약간 확대를 해봤습니다. 촘촘하게 올라가는 파형이 …
재미로 해보는 Class D 앰프 측정 더보기
이거 그려보려고 백만원 썼습니다
C22 phono 앰프의 Bode Plot이다. 이런걸 그려보면 나같은 무식쟁이도 뭔가 그래프가 전달해 주는 느낌을 받을 수 있다. 며칠 전에 포스팅한 Hantek 6022로는 이걸 그릴 수가 없는게 당연. 그래서 Keysight의 EDUX1052G를 사버렸다. 이걸 사도록 바람을 넣어주신 분께 이걸 보여드렸더니 1KHz 기준으로 20Hz에서 20dB, 20KHz에서 -20dB 이므로 정확하게 떨어지는 RIAA 커브다, 앰프가 잘 만들어졌다는 평가를 주셨다. 이걸 …
이거 그려보려고 백만원 썼습니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