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동안 측정 못해봤던 FFT를 한 번씩 쓱 훑어봤습니다.
대부분 제가 제작한 앰프들인데요, 기본적으로 아셔야 할 것은 저는 LTspice에서 왜곡이 많이 나오면 안좋다고 생각해서 대부분의 앰프가 gain을 희생하고 왜곡을 줄인 회로들입니다.
볼륨을 max 위치에 놓고 입력으로 주는 정현파의 Pk-Pk 값을 조정해서 최대한 1W (Vrms=2.83V)를 맞춰보았습니다. 그리고 LTspice도 같은 방법으로 1W (Vamplitude = 4V)를 맞췄습니다
먼저 EL34 메타모르 초단을 ECC81로 바꾼 SE 앰프입니다
2차 배음 (2KHz) -26dBV.


LTspice 결과와 유사합니다. -25dB. ECC8x 종류와 EL34 등의 인기관은 모델이 상당히 정확한가 봅니다. 좀 놀랍네요
최근에 만든 12AU7-12AU7-EL36 SE 앰프입니다. 2차 배음 -38dBV.


LTspice에서는 -40dB로 시뮬됐었네요. 이것도 꽤 정확하고요
6SN7-6SN7-CV391(5B/255M) SE 앰프입니다. -26dBV


LTspice에서는 -36dB로 시뮬됐는데, 차이가 10dB면 좀 크네요. 이건 아마도 CV391 모델이 없어서 사용한 807 모델과 CV391/5B-255M 사이의 차이이거나 아니면 시정수를 바꿔놓고 회로도를 업데이트 안했거나, 아니면 둘 다이거나 그럴 것 같습니다.
6AM4-1614(6L6) SE 앰프입니다. -34dBV.


이것도 차이가 큰데 6AM4 모델도, 6L6_AN 구형 모델도 실제 사용된 6AM4/1614 조합과는 차이가 있지 않나 싶습니다.
6P1P SE 앰프입니다. -16dBV. 이 앰프는 1W 정도의 소출력만 내도록 의도된 앰프이기 때문에 1W 출력에서 왜곡이 작은 다른 앰프들과는 의도가 다르다는 점이 언급되어야 하겠습니다.


-18dB로 거의 유사하게 나왔습니다.
번외로 Musical Fidelity A1-X입니다. -39dBV. 이건 20W 앰프라 진공관 앰프와 1대 1 비교하기는 좀 거시기 합니다.

그 동안 궁금했던 자작한 앰프들의 FFT를 한 번 쓱 볼 수 있어서 일단 좋네요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