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xandall Tone EQ

페이스북에서 이런 Tone EQ 회로를 봤는데 사람들이 Baxandall이네 ㅎㅎㅎ 하고 지나가더라고요.

노안이라 처음에는 Bad Ass All? 했다가 박산돌? 뭔 소리야 하고 찾아보니

  • Peter Baxandall이라는 영국 사람이 1952년에 공짜로 공개한 Shelving Tone EQ다
  • 그 이후로 앰프에 Treble/Bass 노브가 있다면 대부분 이 회로다

굉장히 흥미가 생겨서 한 번 꾸며보기로 했습니다. 금요일 저녁부터 대강 얼기설기 꾸며봤습니다.

디바이스마트에 1M옴 pot을 주문해서 어제 발송됐는데 아쉽게도 오늘 도착을 안 해서, 버려진 100K옴 pot을 연결해봤습니다.

Bass/Treble 모두 최소 볼륨 위치인데요, 파형에 낀 노이즈를 보니 소리를 들어볼 필요는 없겠다 싶습니다. 저 SMPS도 그렇고, 노이즈 집진기 역할을 하는 바람에 버려졌던 100K 볼륨도 그렇고, 샤시 그라운드도 없고 하니까요. 그냥 측정치와 시뮬레이션을 비교해봤습니다. 아래와 같이 그렸고 시뮬레이션은 잘 되는 것으로 보입니다. 박산돌 회로는 여러 버전이 있다고 하는데 맨 위에 올려진 회로도는 무슨 RCA 진공관 매뉴얼에 나와 있는 버전이라고 하네요. Pot 위 아래에 각각 capacitor를 둔 오리지널 버전에 가까운 버전이라고 합니다. 원한다면 하나씩을 줄일 수도 있다고 하는군요.

먼저 Base/Treble 모두 최소 볼륨 위치에서 시뮬레이션입니다

측정치입니다. 2dB 정도에서 시작해 1KHz에서 10dB gain을 얻는 부분까지는 둘이 같은데 100KHz에서 -12dB vs. -24dB의 차이가 있네요. 실용적으로는 아무 의미없겠습니다

이번에는 Bass는 최소, Treble은 최대입니다

측정치입니다. Bode plot 모양만 비슷하지 gain이 크게 차이가 나네요. 20KHz가 16배로 증폭된 소리는 어떤 소리일지 좀 궁금하기도 합니다.

이번에는 Bass는 최대, Treble은 최소입니다.

측정치입니다. Treble과 비슷하게 10dB 정도만 Boost되어야 할 저역이 24dB로 Boost되어 있는 것이 유사합니다. 제가 어느 부분을 잘못 만들었을 수 있겠죠?

이번에는 Bass, Treble 모두 중간 위치입니다

측정치입니다. Bass는 12dB 정도로 비슷하게 나왔는데 Treble은 역시나 많이 boost 되어 있네요

내일 잘못된 부분이 있는지 살펴보고 낮 시간을 이용해 소리도 한 번 들어봐야 되겠습니다.

댓글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