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Tspice에 볼륨(potentiometer) 추가하기

LTspice에 볼륨이 없는데 사실 하이파이 앰프 시뮬에서 볼륨은 큰 필요가 없긴 합니다만, 구글링으로 찾은 lib을 쓰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새로 구입한 책에 더 나은 버전이 있길래 구현해서 테스트 해봤습니다.

위의 파일은 potentio.asy로 LTspice\lib\sym 폴더에 들어가면 됩니다. 심볼입니다.

위의 파일은 potentio.sub로 LTspice\lib\sub 폴더에 들어가면 됩니다. 라이브러리라고 보시면 됩니다. 이 라이브러리는 내용은 딱 두 줄인데 여기에 지금까지 몰랐던게 하나 있습니다.

.SUBCKT potentio in out common
R1 in out {R(1-A+gmin)}
R2 out common {R(A+gmin)}
.ENDS

볼륨은 0%에서 100%까지 변화시키면서 사용하게 되는데 LTspice에서 저항값은 0이 되면 저항값이 분모가 될 때 divide by 0을 발생시키게 됩니다. 그러니 0을 만들지 말아야 하는데 얼마나 dummy 값을 넣어주면 되는지 애매합니다. 이걸 위해서 LTspice는 gmin이라는 것을 만들어 놓고 있습니다. 저게 얼마인지는 중요하지 않고 시뮬에 영향을 주지도 않는다고 하네요..

아래와 같은 형태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볼륨(가변저항)을 0%에서 100%까지 20% 간격으로 변화시키면서 B 전압이 변하는 것을 보여줍니다

위에서 U1이 potentio.sub에 의해 구현된 부분입니다. 원래 위에 나온 리플 제거 회로를 사용하면 R1의 위에서 135V의 두 배인 270V의 약 1.3배가 관측되는데 LTspice에서 그렇게 시뮬레이션되도록 하는 방법을 아직 못찾고 있습니다.

10/5일 업데이트

저 135V라는 입력 전압값은 전원트랜스의 출력전압인데, RMS입니다. 하지만 LTspice는 amplitude를 취급하므로 루트 2를 곱해주어야 합니다. 즉, 1.414를 곱해주어야 하죠.

그러면 왜 1.414배가 아니고 약 1.3배가 출력되는가?에 대한 대답은 일단 다이오드가 1.x V 전압 강하를 일으키고 회로의 다른 부분에서도 다양한 전압 강하가 생길 것입니다.

그러므로 실제로 1.414배를 모두 얻지는 못하니까, 1.414배가 안된다 -> 1.3x 배 정도 된다 -> 1.3배를 얻는다 이렇게 되는군요

댓글

답글 남기기